난독증
난독증과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간의 관계
caidea0503
2025. 8. 7. 09:18
난독증은 글자를 해독하는 능력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연구들은 난독증 아동과 성인에게서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결함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실행 기능이란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세우며, 필요한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한 채 주의를 조절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난독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려면 단순히 읽기 훈련만이 아니라, 실행 기능을 함께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행 기능과 난독증의 과학적 연관성
-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부족
- 난독증 아동은 글자를 소리로 변환하는 동안 정보를 잠시 기억하는 능력이 약화되는 경우가 많다.
- 예: 긴 단어를 읽다가 중간에 앞부분 소리를 잊어버림.
- 주의력 결핍
- 시각 정보와 소리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때 집중을 유지하기 어렵다.
- 결과적으로 글자 하나하나를 해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 인지적 유연성 부족
- 낯선 단어를 해석하거나 규칙을 전환하는 능력이 떨어져 읽기 속도가 느려진다.
- 계획 능력 미흡
- 문단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기보다는 단어 단위에 집착해 전체 이해력이 떨어진다.
난독증과 실행 기능에 대한 연구 사례
-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연구
- 난독증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의 작업 기억을 비교한 결과, 난독증 아동의 청각적 작업 기억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 작업 기억 훈련 후 읽기 속도가 개선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 미국 예일대 연구
- 난독증 아동에게 주의력 강화 훈련과 읽기 훈련을 병행했을 때, 뇌의 전두엽 활성도가 증가하며 읽기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들은 난독증 지원에서 실행 기능 훈련이 핵심적인 보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난독증 아동을 위한 실행 기능 강화 전략
1. 작업 기억 훈련
- 방법: 숫자와 단어를 거꾸로 말하기, 짧은 지시 기억하기
- 예시: “빨간 공 → 파란 상자” 순서를 기억하고 실행하도록 지도
- 효과: 읽기 중 소리와 의미를 동시에 유지하는 능력 강화
2. 주의력 강화 활동
- 방법: 집중력 게임, 시각-청각 주의력 전환 훈련
- 예시: 특정 소리나 글자가 나오면 손들기 게임
- 효과: 읽기 중 불필요한 정보는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에만 집중 가능
3. 인지적 유연성 훈련
- 방법: 단어 규칙 바꾸기 게임
- 예시: “ㅂ으로 시작하는 단어” → “ㄱ으로 시작하는 단어”로 즉시 전환
- 효과: 새로운 단어 규칙을 빠르게 적용하는 능력 향상
4. 계획 능력 훈련
- 방법: 문장과 이야기 구조 분석하기
- 예시: 그림책을 읽으며 이야기의 시작-중간-끝을 구분하도록 지도
- 효과: 읽기 이해력과 전체 맥락 파악 능력 강화
실행 기능 훈련과 난독증 지원의 실제 적용
- 학교 교육과의 통합
- 읽기 수업과 함께 작업 기억과 주의력 강화 활동을 포함한 통합형 교육 필요
- 디지털 학습 도구 활용
- 작업 기억 게임 앱,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 등을 난독증 아동 교육과 연계
- 부모의 역할
- 집에서 짧고 반복적인 기억 게임을 통해 학습 효과를 지속
- 전문가 협력
- 언어치료사와 인지 훈련 전문가가 협력해 종합 프로그램 제공
실행 기능은 난독증 지원의 숨은 열쇠
난독증은 단순히 읽기 기술의 부족이 아니라, 실행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작업 기억과 주의력 훈련을 결합한 지원 프로그램은 난독증 아동과 성인 모두에게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읽기 훈련과 실행 기능 강화는 난독증 지원의 두 축이며, 이 두 가지가 함께할 때 뇌는 더 효율적으로 재조직화되고 학습 성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