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증 학생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는 교실을 만들기 위해 학교 수업은 모든 아이가 동일한 방식으로 배우기를 전제로 구성되곤 한다. 그러나 난독증 아동은 똑같은 교과서를 받아도 글자를 인식하고,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 자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많은 교사들은 난독증을 ‘학습 부진’ 혹은 ‘태도 문제’로 오해하고 아이에게 과제를 반복시키거나 꾸짖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난독증은 지능과는 무관한 신경학적 특성이며, 특정한 배려와 수업 전략을 통해 충분히 학습에 참여시킬 수 있는 대상이다.이 글은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난독증 학생을 이해하고, 수업 시간에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배려 방법과 지도 전략을 소개하기 위한 실용 매뉴얼이다. 난독증 학생을 이해하기 위한 3가지 기본 인식1. “읽기 속도가 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