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2

난독증과 청각중심 학습전략(Auditory Learning Strategy)의 효과 비교 연구

난독증은 주로 읽기와 쓰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신경 발달성 학습장애이지만, 학습 방식의 변화에 따라 그 어려움의 강도와 양상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최근 교육 심리학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청각 중심 학습전략(Auditory Learning Strategy)이 난독증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청각 중심 학습전략이란 시각 자료보다 음성·소리·언어를 중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 방식을 뜻하며, 오디오북, 녹음 강의, 소리 반복 듣기, 음성 피드백 프로그램 등이 대표적 예시로 꼽힌다. 이 방식은 난독증 학습자의 인지 처리 과정을 시각 언어 해독에만 의존하지 않게 하여, 읽기 부담을 줄이고 언어 이해를 촉진한다는 장점이 있다. 청각 중심 학습전..

난독증 2025.08.13

난독증과 감각 처리 민감성(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의 상관관계

난독증은 단순히 읽기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가 아니라, 뇌의 정보 처리 방식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신경 발달 특성이다. 많은 연구에서 난독증 아동과 성인에게서 시각·청각·촉각 정보 처리 과정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감각 처리 민감성(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SPS)’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감각 처리 민감성은 외부 자극에 대한 신경계의 반응성이 높아, 소리·빛·촉감·냄새 등 다양한 자극을 평소보다 더 강하게 인식하거나 피로를 쉽게 느끼는 특성을 말한다. 난독증을 가진 사람 중 상당수가 이런 민감성을 보이는데,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신경학적 메커니즘이 일부 공유되기 때문이다. 난독증과 감각 처리 민감성의 정의와 특징감각 처리 민감성은 심리학자 ..

난독증 2025.08.13